커뮤니티

리뷰&사용기

[리뷰] 크로스오버 27NAN5, LG 나노IPS 적용한 환상화질 27인치 QHD 모니터

페이지 정보

작성자 크로스오버 댓글 0건 조회 72회 작성일 23-03-16 07:57

본문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29_109.jpg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29_1754.jpg

나노 IPS를 탑재한 가성비 게이밍 모니터 


저는 자동차에 관심이 많아 평소에도 관련 매체에서 정보를 찾아보는 편입니다. 그러다 최근 한 차량의 시승기를 접했는데, 바로 고성능 SUV 애스턴 마틴 DBX 707입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SUV인 싼타페, 쏘렌토와 달리 4.0 V8 엔진을 탑재해 무려 707 마력(ps)에 달하는 힘을 냅니다. 덕분에 달리기 성능이 뛰어난데, 제로백 시간은 3.3초에 불과하다는군요. 재밌는 점은 이 차량에 탑재한 엔진을 제조사인 애스턴 마틴에서 만든 게 아니라는 겁니다. 우리에게 벤츠로 익숙한 메르세데스-AMG 엔진을 가져와 튜닝한 것이죠. 이처럼 다른 제조사 엔진을 가져와 사용하는 사례는 자동차 업계에서 흔한 일입니다. 쌍용차는 메르세데스-벤츠 엔진을 들여온 적이 있고, 현대차는 미쓰비시 엔진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디스플레이 시장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핵심 부품인 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회사가 많지 않기에 대부분 외부로부터 패널을 공급받습니다. 그중에는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패널을 사용해 인기를 끄는 사례가 있는데, 크로스오버는 최근 LG 디스플레이 나노 IPS 패널을 적극 사용하면서 다시 한번 인지도를 높여가는 중입니다. 퀘이사존에서도 나노 IPS 패널을 사용한 40LGD5K(칼럼 보기), 34LGD169N(칼럼 보기) 등을 소개했죠. 크로스오버 27NAN5 역시 나노 IPS 패널을 사용한 게이밍 모니터인데, 우리나라 소비자는 IPS 패널 선호도가 높은 만큼 어떤 매력을 보여줄지 궁금하군요.

목차

1. 제품 살펴보기

2. 부가 기능

3. 디스플레이 분석

4. 총평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29_2473.jpg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29_304.png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29_3609.jpg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29_4215.jpg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29_4847.jpg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45_1324.jpg

전면은 꾸밈을 최소화했습니다. 27형 화면은 3면 이너 베젤로 마감했으며 하단 플라스틱 베젤 가운데에 크로스오버 로고를 작게 새겼습니다. 스탠드 받침대는 ㅅ 모양으로 길게 뻗었으며 책상을 넓게 차지하지만 빈 곳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정갈한 전면과 달리 후면은 개성을 힘껏 살렸습니다. VESA 마운트를 중심으로 조명이 은은하게 켜지는 빨간색 장식을 둘렀고 오른쪽 위에 방패 모양을 새겼습니다. 화면 정중앙에 VESA 마운트가 있어 모니터 암을 사용할 때 중심이 흐트러지지 않으며 입출력 단자는 아래를 바라보고 있어 선을 연결해도 바깥으로 튀어나오지 않습니다.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45_1998.jpg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45_2492.jpg

[단자 구성]

영상 : DisplayPort 1.2 1개, HDMI 2.0 2개

음성 : 3 W x2 스테레오 스피커, 3.5 mm 오디오 출력 1개

기타 : USB 2.0 Type-A 1개(충전 전용), 켄싱턴 잠금 장치

전원 : 외장형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45_2922.png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45_3357.jpg

[구성품] DisplayPort 케이블, 케이블 일체형 전원 어댑터, 스크루드라이버, 사용설명서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45_3689.jpg

[스탠드 조절] 18° 앞뒤 각도 조절(틸트)

사람들은 저마다 체격이 다르고 서로 다른 책상과 의자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모니터를 책상 위에 두고 사용하다 보면 눈높이가 맞지 않을 수도 있는데요. 잘못된 자세로 오랜 시간 동안 PC를 사용하면 피로가 쉽게 발생하거나 거북목 현상이 우려되므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45_4265.jpg

[VESA 마운트]100 x 100 mm

[화면 부분 무게] 4.06 kg(실측 기준)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59_7146.png

[최대 주사율]

DisplayPort 1.2 : 165 Hz

HDMI 2.0 : 144 Hz

모니터 주사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훨씬 부드러운 화면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빠른 반응 속도를 요구하는 FPS 게임이나 주변 장면이 빠르게 움직이는 TPS 게임 등에서 그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죠. 또한 높은 주사율은 모니터 주사율을 그래픽카드 FPS와 동기화하는 가변 주사율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폭이 넓어져 보다 넓은 구간에서 화면이 어긋나는 테어링(Tearing) 현상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59_7709.jpg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59_8244.png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59_8927.png
f0c30ce2ff23ff8dd19cf9f99be93a93_1678920159_942.png

[가변 주사율 기술 인증 내역] 없음

[가변 주사율 기술 작동 범위]

DisplayPort 1.2 : 48 Hz ~ 165 Hz

가변 주사율 기술은 그래픽카드 프레임을 모니터 주사율에 맞추는 수직 동기화와 달리 모니터 주사율을 그래픽카드 프레임에 맞춰줍니다. 덕분에 테어링과 스터터링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가변 주사율 기술은 제품에 따라 적용 가능한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며 이를 벗어나지 않아야 쾌적한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AMD, NVIDIA가 규정한 정식 절차를 거쳐 가변 주사율 기술 관련 모든 실험을 통과해 공식 모니터 목록에 포함 및 그래픽카드 드라이버에서 지원하는 제품에 대해서는 "인증"이라고 표기하고, 그러지 않은 제품은 "제어판 활성화 가능"이라고 표기합니다. "제어판 활성화 가능"한 제품은 AMD, NVIDIA에서 가변 주사율 기술을 보장하지 않으므로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